본문 바로가기

건강

소아 또는 성인 ADHD 원인 및 증상, 치료 방법

흔히 산만하고 집중을 못 며 행동이 과한 사람들이 주변에 있다면 ADHD 증상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일반적인 사람들보다는 행동에 있어서 확연히 차이가 드러나며 이는 어렸을 부터 이러한 증상들이 나타나지만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 성인이 되어서도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ADHD란?

ADHD는 아동기에 주로 나타나는 장애 증상으로 과잉적인 행동 장애와 주의력 결핍, 충동적인 행동 등의 증상들이 나타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일부는 이러한 증상이 보이는 아동기 때 치료를 하지 않으면 이는 청소년기와 성인이 되어서도 증상이 유지됩니다.

 

|ADHD 원인

아직까지 ADHD 증상의 발병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는 않았다고 합니다. 여러 지 환경적인 후천적 요인과 유전적인 요인 이렇게 둘로 나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이 있는 경우 뇌 촬영을 진행했을 때에도 주의력을 조절하는 부위의 뇌 활성화가 조금 둔화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구조적인 차이도 발견된다고 합니다.

 

유전적인 요인

가족력이 있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카테콜아민 대사의 유전적인 불균형이 가장 큰 유전적인 발병 요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환경적인 요인

환경적인 소아 또는 성인 ADHD 원인은 아래와 같이 다양한 요인이 있습니다.

 

 

1. 임신 중 산모의 음주, 흡연, 약물 - 아이를 임신했을 때 산모의 직. 간접흡연을 했을 때, 술을 마시거나 약물 복용을 했을 경우에는 태아의 신경세포의 활성을 줄이므로 영향이 줍니다.

 

2. 음식 첨가물 - 인공색소 또는 식품의 보존력을 높이는 식품보존제와 같은 음식물 첨가물 역시도 과잉행동을 유발하는 환경적인 요인에 영향을 줍니다.

 

3. 독소 - 오래된 건물의 수도관에서 흔히 붉은색의 수돗물이 나오는 걸 간혹 볼 수 있는데요. 이 속에 포함되어 잇는 납성분은 페인트의 독소에 노출되게 되면 폭력적인 행동과 분열적인 행동들이 나타나는 것에 영향이 줍니다.

 

|ADHD 증상

소아 ADHD 증상

 

소아기 때의 증상으로는 잠을 자는 시간이 적고 자더라도 자주 깨며, 과도하게 손가락을 빨거나 젖을 잘 빨리 못하고 칭얼댄다면 이는 의심을 소아 ADHD 증상으로 의심을 해봐야 합니다. 좀 더 커서 기어다니기 시작하면서는 한자리에 있지 못하고 여기저기 돌아다니고 하는 증상이 있습니다.

 

 

성인 ADHD 증상

 

1. 손과 발, 몸을 가만히 두지 못하고 계속 꼼지락거립니다.

 

2. 한 가지 일을 집중해서 처리하지 못하고, 장시간 의자에 앉아있기 어려우며, 맡은 바 일을 끝까지 완수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3. 단순한 업무 외에 집중력과 분석력이 필요하고 생각을 해야 하는 업무에 대해서는 기피하며, 미루는 습관이 있습니다.

 

4. 자신의 물건을 쉽게 잃어버립니다.

 

5. 타인과의 대화에서 경청하며 집중하지 못하고, 외부의 소리에 쉽게 산만해지며 다른 사람의 이야기가 끝나지 않을 상황에서 끼어들어 간섭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6. 어릴 적부터 과잉행동 및 산만한 성격으로 주의를 많이 받으며 자존감이 낮아져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우울감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7. 어떠한 행동을 할 때 누군가가 쫓아오는 듯이 급하고 과격하게 행동하는 경향이 있으며, 자신의 순서를 기다리지 못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8. 결혼을 한 이후에는 부부 싸움이 잦으며, 회사에서는 맡은 바 업무를 잘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회 초년생일 경우에는 주변에서 이해하고 넘어가지만 경력이 쌓일수록 동료들의 이해의 폭이 줄고 업무 퍼포먼스가 좋지 않게 되므로 대인관계를 비롯해서 업무를 수행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ADHD의 치료방법으로는 약물로 치료하는 방법과 감정을 조절하는 연습을 하는 자기 조절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 지금까지 소아 또는 성인 ADHD 원인 및 증상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요.

 

ADHD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어려서부터 칭찬의 말보다는 꾸중 및 야단을 많이 맞으며 자랐기 때문에 스스로에 대한 자존감이 낮은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럴수록 학교 선생님이나 성인이 된 이후에는 가까운 가족들에게 이를 알려서 이해와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아무리 이를 인지하고 있다고 해도 환자 스스로 노력하려는 마음이 없으면 어려운 일입니다. 또한 약물 복용을 하는 경우에는 지인의 경우 경험담을 들어보니 평온한 마음이 지속되는 것을 좋지만 기분이 많이 다운돼서 우울감이 많이 든다고 합니다.

 

물론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치료할 때 누구보다도 가까운 가족의 이해와 보살핌이 필요하므로 함께 노력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반응형